그 때여 춘향 모친은 아무 물색 모르고 초저녁잠 실컷 자고 일어나 보니, 건너 춘향 방에서 울음소리가 나거든, “아이고, 저것들 또 사랑싸움 허나 부다.” 울음 밑이 장차 길어지니 춘향 모친이 동정을 살피러 나와 보는디,
춘향 모친이 나온다. 춘향 모친이 나온다. 허던 일 밀쳐놓고, 상초머리, 행자초마 모양이 없이 나온다. 춘향 방 영창 앞에 가만히 올라서 귀를 대고 들으니 정녕한 이별이로구나. 춘향 모친 기가 맥혀 어간마루 섭적 올라 두 손뼉 땅땅, “어허, 별일 났네. 우리집에 별일 났어. 한 초상도 어려운디 세 초상이 웬일이냐.” 쌍창문 번쩍 열고 방으로 뛰어 들어가 주먹 쥐어 딸 겨누며, “야 요년아, 썩 죽어라. 내가 일상 말하기를 무엇이라고 이르더냐? 후회되기가 쉽것기에 태과한 맘 먹지 말고 여염을 세아려서, 지체도 너와 같고, 인물도 너와 같은 봉황 같은 짝을 지어 내 눈앞에 노는 양은 너도 좋고 나도 좋지야. 마음이 너무 도도하여 남과 별로 다르더니 오 그 일 잘 되었다. 도련님 앞으로 달려 들어, “여보시오, 도련님. 나하고 말 좀 하여 보세. 내 딸 어린 춘향이를 버리고 간다 허니 인물이 밉던가, 언어가 불손턴가, 잡시럽고 흉하든가, 노류장화가 음란한가, 어느 무엇이 그르기로 이 봉변을 주랴시오? 군자 숙녀 버리난 법, 칠거지악에 범찮허면 버리난 법 없는 줄을 도련님은 모르시오? 내 딸 춘향 사랑헐 제, 잠시도 놓지 않고, 주야장천 어루다, 말경에 가실 때는 뚝 떼어 버리시니, 양류에 천만산들 가는 춘풍을 잡어 매 낙화 후 녹엽이 된들 어느 나비가 돌아와? 내 딸 옥 같은 화용신 부득장춘 절로 늙어 홍안이 백수 되면, 시호시호부재래라, 다시 젊든 못하느니. 내 딸 춘향 님 그릴 제, 월청명야삼경 창전에 돋은 달 왼 천하가 밝아, 첩첩수심이 어리어, 가군 생각이 간절. 초당전 화계상에 담배 피워 입에 물고 이리저리 거닐다, 불꽃같은 시름 상사, 심중에 왈칵 나면, 손들어 눈물 씻고 북녘을 가리키며, 한양 계신 우리 낭군, 날과 같이 그리우나? 내 사랑 옮겨다가 다른 님을 꼬이나? 뉘 년의 꼬염을 듣고 여영 이별이 되려나? 아주 잊고 여영 잊어 일장수서가 돈절허면 긴 한숨 피눈물은 창 끊는 애원이라. 방으로 뛰어 들어가 입은 옷도 아니 벗고, 외로이 벼개 우에 벽만 안고 돌아누워 주야 끌끌 울 제, 속에 울화가 훨훨, 병 아니고 무엇이오? 늙은 어미가 곁에 앉아 아무리 좋은 말로 달래고 달래어도, 시름 상사 깊이 든 병 내내 고치던 못허고 원통히 죽게 되면, 칠십당년 늙은 년이 딸 죽이고 사위 잃고 지리산 갈가마귀 게발 물어다 던진듯이, 혈혈단신 이내 몸이 뉘를 의지허오리까? 이왕에 가실 테면 춘향이도 죽이고, 나도 죽이고, 향단이까지 마자 죽여, 삼 식구 아조 죽여 땅에 묻고 가면 갔지, 살려두고는 못 가리다. 양반의 자세허고 몇 사람 신세를 망추랴오. 마오, 마오, 그리 마오.”
도련님이 기가 막혀, “장모. 좋은 수가 있네. 춘향만 다려가면 그만 아닌가? 내일 요여 배행시에 신주는 내어 내 도포 소매에 모시고, 춘향이를 요여 안에 태우고 가면, 누가 요여 안에 춘향이 태우고 간다 헐라든가?”
“아이고, 어머니. 도련님 너무 조르지 마오. 도련님이 오죽 답답하고 민망허여야 저런 망언을 허오리까? 어머니는 건넌방으로 가시오. 도련님과 저는 밤새도록 울음이나 실컷 울고, 내일 이별헐라요.”
춘향 모친 기가 맥혀, “못허지야, 못허지야. 네 마음대로는 못허지야. 저 양반 가신 후로 뉘 간장을 녹이랴느냐? 보내어도 각을 짓고, 따러가도 따러가거라. 여필종부라 하였으니 너그 서방을 따러가거라. 나는 모른다. 너그 둘이 죽든지 살든지, 나는 모른다, 나는 몰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