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때여, 춘향이가
오리정으로 이별을 허러 나갔다 허되,
그럴 리가 있겄느냐?
내행차 배행시에
육방관속이
오리정 삼로 네거리에
들어서 있는디,
염치있고 체면있는 춘향이가
퍼버리고 앉어 울 수가 없지
꼼짝 달싹 못허고,
저의 집 담장 안에 이별을 허는디
와상우에 자리를 펴고
술상 채려 내어 놓으며,
“아이고 여보 도련님,
이왕에 가실테면
술이나 한잔 잡수시오.
술 한잔을 부어 들고
권군갱진일배주허니,
권할 사람 뉘 있으며,
위로 헐 이 뉘 있으리.
이 술 한잔을 잡수시고
한양을 가시다가
강수청청 푸르거든
원함정을 생각허고,
마상에 뇌곤허여
병이 날까 염려오니,
행장을 수습허여
부디 평안이 행차 허요”
“오냐, 춘향아 우지마라.
너와 나와 만날 때는
합환주를 먹었거니와
오늘날 이별주가
이게 웬일이냐?
이술 먹지 말고 이별말자
이별 근본 네 들어라
하량낙일 수운기는
소통국의 모자 이별,
용산의 형제이별
서출양관 무고인이라
이런이별 많건마는
너와나와 당헌 이별,
만날 날이 있을테니
서러워 말고 잘 있거라”
도련님이 금낭 속에서
추월같은 대모석경
춘향주며 허는 말이
“이애, 춘향아 거울 받어라.
장부의 맑은 마음
거울빛과 같은 지라
날 본 듯이 내어 보아라”
춘향이 그 거울 간수허고,
저쪘던 옥지환을
바드득 빼어 내어
도련님전 올리면서
“옛소, 도련님, 지환 받으오.
여자의 굳은 절행
지환 빛과 같사오니, 이걸 깊이 두었다가
날 본 듯이 두고 보소서”
피차 정표 헌 연후의 떨어지지를 못허는 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