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수, 노래, 앨범, 가사내용 검색이 가능합니다.


선유가(船遊歌) 묵계월

선유가 - 묵계월 가세 가세 자네 가세 가세 가세 놀러 가세 배를 타고 놀러를 가세 지두덩기 여라 둥게 둥덩 덩실로 놀러 가세 앞 집이며 뒷 집이라 각위 (各位) 각 집 처자들로 장부간장 (丈夫肝腸) 다 녹인다 동삼월 계삼월 (桂三月) 회양도 봉봉 돌아를 오소 아나 월선 (月仙)이 돈 받소 가던 임은 잊었는지 꿈에 한번 아니 보인다 내 아니

유산가(遊山歌) 묵계월

유산가 - 묵계월 화란춘성 (花爛春城)하고 만화방창 (萬花方暢)이라 때 좋다 벗님네야 산천경개 (山川景槪)를 구경 (求景)을 가세 죽장망혜단표자 (竹杖芒鞋單瓢子)로 천리강산 (千里江山) 들어를 가니 만산홍록 (滿山紅綠)들은 일년일도 (一年一度) 다시 피어 춘색 (春色)을 자랑노라 색색 (色色)이 붉었는데 창송취죽 (蒼松翠竹)은 창창울울

적벽가(赤壁歌) 묵계월

적벽가 (赤壁) - 묵계월 삼강 (三江)은 수전 (水戰)이오 적벽 (赤壁)은 오병 (吳兵)이라 난데없는 화광 (火光)이 충천 (沖天)하니 조조 (曺操)가 대패 (大敗)하여 화용도 (華容道)로 행 (行)할 즈음에 응포일성 (應砲一聲)에 일원대장 (一員大將)이 엄심갑 (俺心甲)옷에 봉 (鳳)투구 저켜 쓰고 적토마 (赤兎馬) 비껴 타고 삼각수 (

출인가(出引歌) 묵계월

출인가 (出引) - 묵계월 풋고추 절이 김치 문어 (文魚) 전복 (全鰒) 곁들여 황소주 (黃燒酒) 꿀 타 향단 (香丹)이 들려 오리정 (五里亭)으로 나간다 오리정으로 나간다 어느 년 (年) 어느 때 어느 시절 (時節)에 다시 만나 그리던 사랑을 품안에 품고사랑 사랑 내 사랑아 에~ 어화 둥게 내 건곤 (乾坤) 이제 가면 언제 오뇨 오만 한 (

방물가(房物歌) 묵계월

방물가 (房物) - 묵계월 서방 (書房)님 정 (情) 떼고 정 (正) 이별 (離別) 한대도 날 버리고 못 가리라 금일 (今日) 송군 (送君) 임 가는데 백년소첩 (百年小妾) 나도 가오 날 다려 날 다려 날 다려 가오 한양 낭군 (漢陽 郎君)님 날 다려 가오 나는 죽네 나는 죽네 임자로 하여 나는 죽네 네 무엇을 달라고 하느냐 네 소원 (所願)

형장가(刑杖歌) 묵계월

형장가 - 묵계월 형장 (刑杖) 태장 (笞杖) 삼 (三) 모진 도리매로 하날 치고 짐작 (斟酌)할까 둘을 치고 그만 둘까 삼십도 (三十度)에 맹장 (猛杖)하니 일촌간장 (一寸肝腸)이 다 녹는다 걸렸구나 걸렸구나 일등 춘향이 걸렸구나 사또 분부 (吩咐) 지엄 (至嚴)하니 인정 일랑 두지마라 국곡투식 (國穀偸食) 하였느냐 엄형중치 (嚴刑重治)는 무삼일고

집장가(執杖歌) 묵계월

집장가 (執杖) - 묵계월 집장군노 (執杖軍奴) 거동 (擧動)을 봐라 춘향을 동틀에다 쫑그라니 올려 매고 형장 (刑杖)을 한아름을 디립다 덥썩 안아다가 춘향의 앞에다가 좌르르 펄 뜨리고 좌우 나졸 (邏卒)들이 집장배립 (執杖排立)하여 분부 (吩咐) 듣쭈어라 여쭈어라 바로 바로 아뢸 말쌈 없소 사또 안전 (案前)에 죽여만 주오 집장군노 거동을

평양가(平壤歌) 묵계월

평양가 - 묵계월 갈까보다 가리 갈까보다 임을 따라 임과 둘이 갈까 보다 잦은 밥을 다 못 먹고 임을 따라 임과 둘이 갈까 보다 부모 동생 다 이별하고 임을 따라 임과 둘이 갈까 보다 불 붙는다 불이 불 붙는다 평양성내 (平壤城內) 불이 불 붙는다 평양성내 불이 불 붙으면 월선 (月仙)이 집이 행여 불 갈세라 월선이 집이 불이 불 붙으면

십장가(十杖歌) 묵계월

십장가 - 묵계월 전라좌도 남원 남문 밖 월매 딸 춘향이가 불쌍하고 가련하다 하나 맞고 하는 말이 일편단심 춘향이가 일종지심 (一從之心) 먹은 마음 일부종사 하쟀더니 일각일시 (一刻一時) 낙미지액 (落眉之厄)에 일일칠형 (一日七刑) 무삼 일고 둘을 맞고 하는 말이 이부불경 (二夫不更) 이 내 몸이 이군불사 (二君不事) 본을 받아 이수중분백로주

제비가(연자가(燕子歌)) 묵계월

제비가 - 묵계월 만첩산중 (萬疊山中) 늙은 범 살찐 암캐를 물어다 놓고 에- 어르고 노닌다 광풍 (狂風)에 낙엽 (落葉)처럼 벽허 (碧虛) 둥둥 떠 나간다 일락서산 (日落西山) 해는 뚝 떨어져 월출동령 (月出東嶺)에 달이 솟네 만리장천 (萬里長天)에 울고 가는 저 기러기 제비를 후리러 나간다 제비를 후리러 나간다 복희씨 (伏羲氏) 맺힌 그물을

달거리(월령가(月令歌)) 묵계월

달거리 - 묵계월 네가 나를 볼 양이면 심양강 건너와서 연화분 (蓮花盆)에 심었던 화초 (花草) 삼색도화 (三色桃花) 피었더라 이 신구 (親舊) 저 신구 잠자리 내 신구 일조낭군 (一朝郎君)이 네가 내 건곤 (乾坤) 이지 아무리 하여도 네가 내 건곤이지 정월 (正月)이라 십오일에 망월 (望月)하는 소년들아 망월도 하려니와 부모봉양 (父母奉養)

소춘향가(小春香歌) 묵계월

소춘향가 (小春香) - 묵계월 춘향의 거동을 봐라 오인 손으로 일광 (日光)을 가리고 오른 손 높이 들어 저 건너 죽림 보인가 대 심어 울하고 솔 심어 정자라 동편에 연정 (蓮亭)이오 서편에 우물이라 노방 (路傍)에 시매고후과 (時賣故侯瓜)요 문전에 학종선생류 (學種先生柳) 긴 버들 휘늘어진 늙은 장송 (長松) 광풍에 흥겨워 우줄 활활 춤을

방아타령 묵계월

방아타령 - 묵계월 에헤 에헤 에헤야 어라 욱여라 방아로구나 반 (半) 넘어 늙었으니 다시 젊기는 콧집이 앵돌아졌다 에타 좋구나 오초동남 (吳楚東南) 너른 물에 오구 가는 상고선 (商賈)은 순풍에 돛을 달고 북을 두리둥실 울리면서 어기여차 닻 감는 소리 원포귀범 (遠浦歸帆)이 에헤라 이 아니란말가 에헤 에헤 에헤야 어라 욱여라 방아로구나 널과

선유가 이은주

가세~가세 가세~가세 가세~가세 놀러가세. 배를 타고 놀러를 가세 지두덩기여라 둥게 둥덩 덩실로 놀러가세. 앞집이며 뒷집이라 각위 각집 처자들로 장부간장 다 녹인다. 동삼월 계삼월 회양도 봉봉 돌아를 오소 아나 월선이 돈받소. 가는 님은 잊었는지 꿈에 한 번 아니 보인다 내 아니 잊었거든 젠들 설마 잊을소냐. 가세~가세 가세~가세 가세~가세 놀러가세....

선유가 채수현

가세 가세 자네 가세 가세 가세 놀러 가세 배를 타고 놀러를 가세 지두덩기여라 둥게 둥덩 덩실로 놀러 가세앞집이며 뒷집이라 각위 각집 처자들로 장부간장 다 녹인다동삼월 계삼월 호양도 봉봉 돌아를 오소 아나 월선이 돈 받소가던 임은 잊었는지 꿈에 한 번 아니 보인다 내 아니 잊었거든 젠들 설마 잊을소냐가세 가세 자네 가세 가세 가세 놀러 가세 배를 타고...

선유가 한명숙

어기어차홍 어기어차홍 노를 저라동백꽃 피는 저마을 아가씨가슴위에도 터질듯부풀은 꿈이 핀다나어기어차홍 어기어차홍둥근달이 두둥실 솟아오른다한잔 술 없을까보냐태백이 나로다 에라 좋구나물결이 찰랑 마음도 찰랑온세상이 거나해 찰랑일장춘몽에 인생이거늘 아니놀손가어기어차홍 어기어차홍물이흘러 밤 흘러 꿈이 흐른다어 한잔 더 하자구나 얼시구좋구나 에러 좋구나물결이 찰...

선유가 이희문

가세 가세 자네가세가세 가세 놀러가세배를 타고 놀러를 가세지두덩기어라 둥게 둥덩덩실로 놀러가세앞집이며 뒷집이라각위각집 처자들로장부간장 다 녹인다동삼월 계삼월 호양도봉봉 돌아를 오소아나 월선이 돈 받소가던 임은 잊었는지꿈에 한번 아니 보인다내 아니 잊었거든젠들 설마 잊을소냐가세 가세 자네가세가세 가세 놀러가세배를 타고 놀러를 가세지두덩기어라 둥게 동덩덩...

야월 선유가 Various Artists

해설: 이지영(한국 고음반 연구회원) 일제 때 나온 신민요의 하나이다. 달밤에 밧놀이 하는 내용을 담은 것이기 때문에 야월 선유가라 한다. 장절형식으로 되어 있는데 “에야 데야”하는 입타령으로 된 후렴이 붙는다. 조금 빠른 굿거리 장단에 맞는다. 대체로 신민요조의 경토리(경기 지방 민요 선율)로 되어 있고 뒷소리는 뱃노래 특유의 구슬픈 가락으로 되어...

선유가 경기12잡가 박지민

가세 가세 자네 가세 가세 가세 놀러 가세 배를 타고 놀러를 가세 지두덩기어라 둥게 둥덩 덩실로 놀러 가세앞집이며 뒷집이라 각위(各位) 각집 처자(處子)들로 장부간장(丈夫肝臟) 다 녹인다 동삼월(冬三月) 계삼월(桂三月) 회양도(淮陽道) 봉봉(峯峯) 돌아를 오소 아나 월선(月仙)이 돈 받소 가던 임은 잊었는지 꿈에 한번 아니 보인다 내 아니 잊었거든 젠...

태평가 묵계월

태평가 - 묵계월 학도 뜨고 봉도 떴다 강상 두루미 높이 떠서 두 나래를 훨씬 펴고 우줄우줄 춤을 춘다 니나노 닐리리야 닐리리야 니나노 얼싸좋아 얼씨구 좋다 벌 나비는 이리저리 펄펄 꽃을 찾아서 날아든다 작작요요 도리화는 장안 호접 구경이오 금장병풍 모란화는 부귀자의 번화로다 니나노 닐리리야 닐리리야 니나노 얼싸좋아 얼씨구 좋다 벌 나비는 이리저리

건드렁타령 묵계월

건드렁타령 - 묵계월 왕십리 처녀는 풋나물 장사로 나간다지 고비 고사리 두룹나물 용문산채 (龍文山菜)를 사시래요 건드렁 건드렁 건드렁 거리고 놀아 보자 누각 (樓閣)골 처녀는 쌈지장사로 나간다지 쥘쌈지 찰쌈지 유자비빔을 사시래요 건드렁 건드렁 건드렁 거리고 놀아 보자 간주중 건드렁 건드렁 건드렁 거리고 놀아 보자 모화관 (慕華館) 처녀는 갈매

애원성 묵계월

애원성 - 묵계월 술취한 강산에 호걸이 춤추고 돈없는 천지엔 영웅도 우노나 에헤 어얼사 좋다 얼럴럴 거리고 상사디야 금수강산이 아무리 좋아도 정든 님 없으면 적막강산이라 에헤 어얼사 좋다 얼럴럴 거리고 상사디야 간주중 에헤 어얼사 좋다 얼럴럴 거리고 상사디야 무산령 너머다 정든 님 두고서 두만강 뗏목에 몸 실려 가누나 에헤 어얼사 좋다 얼럴럴

담바귀타령 묵계월

담바귀타령 - 묵계월 시작일세 시작일세 담바귀타령이 시작일세 담바구야 담바구야 동래나 울산의 담바구야 너의 국 (國)이 어떻길레 대한제국을 왜 나왔나 우리 국도 좋건마는 대한의 국을 유람을 왔네 은을 주려 나왔느냐 금을 주려 나왔느냐 은도 없고 금도 없고 담바귀씨를 가지고 왔네 저기 저기 저 산 밑을 슬슬 갈아 엎어놓고 담바귀씨를 훌훌 뿌려

정선아리랑 묵계월

정선 아리랑 - 묵계월 & 이은주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오 아리랑 고개로 나를 넘겨만 주소 강원도 금강산 일만 이천봉 팔람구암자 (八藍九庵子) 유점사 (愉岾寺) 법당 뒤에 칠성단 돋우 모우고 팔자에 없는 아들 딸 낳아 달라고 석달 열흘 노구 메 (놋쇠 솥에 지은 밥) 정성을 말고 타관객리 (他官客裏) 외로히 난 사람 괄세를 마라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오

양산도 묵계월

양산도 - 묵계월 에헤이예 동원도리 편시춘 (東園桃李 片時春)하니 일촌 (一寸)의 광음 (光陰)이 애석하다 세월아 봄철아 오고 가지 마라 장안 (長安)의 호걸이 다 늙어간다 에헤이예 소슬 단풍 찬바람에 짝을 잃은 기러기 야월공산 깊은 밤을 지새워 운다 일락은 서산에 해 떨어지고 월출동령에 달 솟아 온다 간주중 에라 놓아라 아니 못 놓겠네

사설방아타령 묵계월

사설방아타령 - 묵계월 경기도라 여주 이천 물방아가 제일인데 오곡백곡 잡곡 중에 자차벼만 찧어보세 에헤 에헤 에헤야 어라 욱여라 방아로구나 마탄 금탄 여울 물에 물레방아 돌고 돌아 줄기차게 쏟는 물은 쿠궁쿵쿵 잘도 찧네 에헤 에헤 에헤야 어라 욱여라 방아로구나 간주중 산에 올라 수진방아 들에 내려 디딜방아 돌고 돌아 연자방아 시름 잊고 찧어보세

몽금포타령 묵계월

몽금포타령 - 묵계월 장산곶 마루에 북소리 나더니 금일도 상봉에 님 만나 보겠네 에헤요 에헤요 에헤요 님 만나 보겠네 바람새 좋다고 돛 달지 말구요 몽금이 앞 바다 들렸다 가게나 에헤요 에헤요 에헤요 들렸다 가게나 간주중 에헤요 에헤요 에헤야 나 혼자 살래나 장산곶 마루에 새 소식 들리니 원포귀범에 정든 님 오셨네 에헤요 에헤요 에헤요 정든

오돌독 묵계월

오돌독 - 묵계월 용안 예지 (龍眼 예枝) 에루화 당대추는 정든 님 공경에 에루화 다 나간다 늬리닐닐 어리구 절사 말 말어라 사람의 섬섬간장 (纖纖肝腸) 에루화 다 녹인다 설부화용 (雪膚花容)을 에루화 자랑마라 세월이 흐르면 에루화 허사만사라 늬리닐닐 어리구 절사 말 말어라 사람의 섬섬간장 에루화 다 녹인다 간주중 늬리닐닐 어루구 절사 말

청춘가 묵계월

청춘가 - 묵계월 이팔 청춘에 소년 몸 되어서 문명의 학문을닦아를 봅시다 요지일월 (堯之日月)은 순지건곤 (舜之乾坤)이요 태평성대 (太平聖代)가 여기로 구나 세상만사를 생각을 하며는 묘창해지 일속 (渺蒼海之一粟)이로구나 간주중 천금을 주어도 세월은 못 사네 못 사는 세월을 허송을 할거나 우리가 살며는 몇 백년 사느냐 살아 생전에 사업을 이루세

신고산타령 묵계월

신고산타령 - 묵계월 어랑 어랑 어허야 어야 더야 내 사랑아 신고산이 우루루루 함흥차 가는 소리에 구고산 큰 애기 밤 봇짐만 싸누나 어랑 어랑 어허야 어야 더야 내 사랑아 삼갯골 큰 애기는 정든 님 오기만 기다리고 삼천만 우리 동포 통일 되기만 기다린다 어랑 어랑 어허야 어야 더야 내 사랑아 간주중 어랑 어랑 어허야 어야 더야 내 사랑아 지저귀는

자진방아타령 묵계월

자진방아타령 - 묵계월 얼씨구 절씨구 잦은 방아로 돌려라 아하 아하 에헤요 에헤여라 방아 흥아로다 정월이라 십오일 구머리장군 긴코백이 액맥이 연이 떴다 에라디여 에헤요 에헤여라 방아 흥아로다 이월이라 한식날 종달새 떴다 아하 아하 에헤요 에헤여라 방아 흥아로다 삼월이라 삼짇날 제비 새끼 명마구리 바람개비가 떴다 에라디여 에헤요 에헤여라 방아

강원도아리랑 묵계월

강원도아리랑 - 묵계월 아주까리 동백아 여지마라 누구를 괴자고 머리에 기름 아리 아리 쓰리 쓰리 아라리요 아리 아리 고개로 넘어간다 흙물의 연꽃은 곱기만 하다 세상이 흐려도 나 살탓이지 아리 아리 쓰리 쓰리 아라리요 아리 아리 고개로 넘어간다 간주중 아리 아리 쓰리 쓰리 아라리요 아리 아리 고개로 넘어간다 영창 (暎窓)에 비친 달 다 지도록

노래가락 묵계월

노래가락 - 묵계월 오월이라 단오일은 천중가절 (天中佳節) 이 아니냐 수양 청청 (垂楊 靑靑) 버들 가지 꾀꼬리는 노래하네 휘여능청 버들 가지 저 가지를 툭툭 차라 창외명월 (窓外明月) 두우성 (斗牛星)은 임 계신 곳 비춰 있고 회포 (懷抱)는 심란 (心亂)한데 해는 어이 수이 가노 경경히 그리는 것은 간장 (肝腸) 썪는 눈물이라 간주중 명사십리

천안삼거리 묵계월

천안삼거리 - 묵계월 천안 삼거리 흥 능수버들은 흥 제 멋에 겨워서 휘늘어 졌구나 에루화 좋다 흥 성화로구나 흥 반만년 역사가 흥 찬란도 하구요 흥 선열의 쌓은 공덕 위대도 하구나 에루화 좋다 흥 성화로구나 흥 간주중 밝그레한 저녁 노을 돋는 저 곳에 흥 넘어가는 낙일 (落日)이 물에 비취네 에루화 좋다 흥 성화로구나 흥 계변양류 (溪邊楊柳

오봉산타령 묵계월

오봉산 타령 - 묵계월 오봉산 (五峰山) 꼭대기 에루화 돌배 나무는 가지 가지 꺾어도 에루화 모양내 나누나 에헤야 데헤야 영산홍록 (映山紅綠)의 봄 바람 오봉산 제일봉에 백학이 춤추고 단풍진 숲속에 새 울음도 처량터라 에헤야 데헤야 영산홍록의 봄 바람 간주중 그윽한 준봉 (峻峰)에 한 떨기 핀 꽃은 바람에 휘날려 에루화 간들 거리네 에헤야

한강수타령 묵계월

한강수 타령 - 묵계월 한강수라 넓고 깊은 물에 수상선 타고서 에루화 뱃놀이 가잔다 아하 아하 에헤야 에헤요 어허야 얼싸함마 둥게디여라 내 사랑아 양구 화천 흐르는 물 소양정을 감돌아 양수리를 거쳐서 노들로 흘러만 가누나 아하 아하 에헤야 에헤요 어허야 얼싸함마 둥게디여라 내 사랑아 간주중 한강수야 네가 말을 하여라 눈물 둔 영웅이 몇몇 줄을

는실타령 묵계월

는실타령 - 묵계월 닭이 운다 닭이 운다 저 건너 모시당굴 닭이 운다 얼씨구 좋다 좋기만 좋지 는실 는실 너니가 나노 지화자 좋을시고 개가 짖네 개가 짖네 건넛말 삽짝밑에 개가 짖네 얼씨구 좋다 좋기만 좋지 는실 는실 너니가 나노 지화자 좋을시고 간주중 봉이 운다 봉이 운다 울밑의 오동 남게 봉황이 운다 얼씨구 좋다 좋기만 좋지 는실

白沙的風車轉啊轉 陳宏銘

赤崁 坐北海  目斗 燈塔最北邊 吉貝 石滬沙尾美  通樑 古榕大橋旁 (一遍) 丁香 曬日金爍爍  最驚 雨來收袂離 鳥嶼 元貝看海鼠  姑婆嶼放炮採紫菜 (二遍) 丁香 曬日金爍爍  最驚 雨來收袂離 後寮 楊梅嘉寶瓜 講美的蚵仔上蓋青 白沙的風車轉啊轉  白雲海風來逗挺 白沙的風車轉啊轉  海鳥海湧來逗陣

たとえば (예를 들어) Hatsumi Ohara

たとえば花を流れに浮かべ ながめてぶようなあなたなの たとえば風が飛ばした帽子 坂道落ちるような私なの あきらめ愛して繰返す せめて欲しいの愛の唄はわないで 花にたとえ風にたとえては空しく つのる想い胸にこみあげて たとえば夏の海鳥鳴いて 消えゆく虹のようなあなたなの たとえば波をなくした海に 帰らぬを探す私なの あきらめ愛して繰返す せめて欲しいの愛の唄はわないで

枫桥夜泊 (唐·张继) 儿歌多多

姑苏城外寒山寺,夜半钟声到客。 枫桥夜泊[唐]张继 月落乌啼霜满天,江枫渔火对愁眠。 姑苏城外寒山寺,夜半钟声到客。 月落乌啼霜满天,江枫渔火对愁眠。 月落乌啼霜满天,江枫渔火对愁眠。 姑苏城外寒山寺,夜半钟声到客。 姑苏城外寒山寺,夜半钟声到客。 月落乌啼霜满天,江枫渔火对愁眠。 姑苏城外寒山寺,夜半钟声到客

船乘り 캡틴 테일러

乘り (후나노리) 뱃사람 Je ne sais pas 渴いた夜 戱れに醉いしれても (즈 느 쎄 파 가와이타요루 타와무레니요이시레테모 ) 모르겠어요, 갈증나는 밤, 유희에 취해봐도 貴方(貴男)は 時(時代)を見詰める 星の旅人 (아나타와 토키오 미쯔메루 호시노타비비토) 그대는 시대를 주시하는 별의 여행자 Pourquoi 浪うつ胸 泡沫の

강원도 아리랑 이은주,묵계월

강원도 아리랑 이은주,묵계월 아주까리 동백아 억지마라 산골의 처녀 다 놀아난다 아리아리 쓰리쓰리 아라리요 아리 아리 얼시고 노라가세 만나보세 만나보세 만나보세 아주까리 정자로 만나보세 열리는 콩밭은 아니 열리고 아사리 동백은 왜 열리나 감 꽃을 줏으면 헤어진 사랑 그감이 익을땐 오시만 사랑

노들강변 이은주&묵계월

노들강변 1. 노들강변 봄버들 휘휘 늘어진 가지에다 무정 세월 한 허리를 칭칭 동여 매어볼까 **에헤요 봄 버들도 못 믿을이로다 푸르른 저기 저 물만 흘러 흘러서 가노라 2. 노들강변 백사장 모래마다 밟은자국 망고풍상 비바람에 몇번이나 지어갔나 **에헤요 백사장도 못 믿으리로다 푸르른 저기 저 물만 흘러 흘러서 가노라

강원도 아리랑 이은주,묵계월

강원도 아리랑 이은주,묵계월 아주까리 동백아 억지마라 산골의 처녀 다 놀아난다 아리아리 쓰리쓰리 아라리요 아리 아리 얼시고 노라가세 만나보세 만나보세 만나보세 아주까리 정자로 만나보세 열리는 콩밭은 아니 열리고 아사리 동백은 왜 열리나 감 꽃을 줏으면 헤어진 사랑 그감이 익을땐 오시만 사랑

뱃노래 이은주, 묵계월

뱃노래 (With 이은주, 이은미) - 이은관 만경창파에 둥둥 뜬 배야 게 잠깐 닻 주어라 말 물어보자 어기야 디여차 어야 디야 어기여차 뱃놀이 가잔다 만경창파에 배를 띄우고 술렁술렁 노 저어라 달맞이 가보자 어기야 디여차 어야 디야 어기여차 뱃놀이 가잔다 바람 앞에 장명등은 꺼지건 말건 우리들의 마음만은 변치나 마잔다 어기야 디여차 어야 디야 어기여...

오봉산타령 이은주, 묵계월

오봉산타령 - 이은주 오봉산 꼭대기 에루화 돌배 나무는 가지 가지 꺾어도 에루화 모양내 나누나 에헤야 데헤야 영산 홍록의 봄 바람 간주중 바람아 봄 바람아 에루화 불지를 말어라 머리 단장 곱게한 것 에루화 모두 다 풀린다 에헤야 데헤야 영산 홍록의 봄 바람 간주중 무정산천아 오구 가지를 말어라 아까운 청춘이 에루화 늙어만 가는구나 에헤야 데헤야 영산 ...

산염불 이은주, 묵계월

산염불 (With 이은주, 이은미) - 이은관 어젯밤 꿈 좋더니 님에게서 편지가 왔네 그 편지를 뜯어 보고 가슴 우에다 얹었더니 인찰지 (印札紙) 봉투가 무겁겠소마는 가슴 답답해 못 살겠네 에헤 에헤 에헤에 어허에 아미타 불이로다 활 지어 송지 (松枝)에 걸고 석침 (石枕) 베고 누웠으니 송풍 (松風)은 거문고요 두견성은 노래로다 에헤 에헤 에헤에 어...

짝타령 (창 : 묵계월, 박윤정) 묵계월, 박윤정

황성의 허조벽산월이오고목은 진입창오운이라 하던 니태백으로 한 짝 허고삼년적니의 관산월이오만국병전초목풍이라하던 두자미로 한 짝 허고낙하는 여고목제비하고추수는 공장천일색이라 하던 왕자안으로 웃짐 쳐서백로는 횡강하고 수광은 접천이라 하던 소동파로 말 몰여라좌무수이종일하고탁청천이자결이라 하던 왕자안으로 웃짐 쳐서백로는 횡강하고 수광은 접천이라 하던 소동파로 ...

恋歌 黄诗荑

只有我 离别的眼泪 化成彩虹 花辦上的雨露 闪耀天空 天黑黑 雾蒙蒙 我迷失在兩中 无法抹去我心中的痛 仰望星空 许下承诺 永远是我心中的梦 阳光下的余温 治愈苦涩 像半岛铁盒甜的糖果 抬起头 默默的找回自我 苦中作乐 只有我 离别的眼泪化成彩虹 花辦上的兩露闪耀天空 看星星 手牵手 都已随风吹走 风会带走我所有哀愁 仰望星空 许下承诺 褪去稚嫩的枷锁 屋顶钟声 余音划过 让彩虹架起爱的星河 童话的

木浦の淚 天童よしみ

月にひと聲 波間に三聲 ちとり啼く夜は また募る 女ごころの 切なさ辛らさ 名殘りの唄 木浦の淚 2. 二度と逢えない 戀なら身なら なまじ覺えて 今さらに 泣きはしませぬ あの節訛り 別れの唄 木浦の淚 3.